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단 3단계로 K-POP 안무 저작권 지키는 법

반응형

단 3단계로 K-POP 안무 저작권 지키는 법

퍼포먼스를 완성하는 안무의 가치와 변화

K‑POP에서 안무는 단순한 동작을 넘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곡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과거 ‘뒤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여겨졌던 안무가들은 이제 아티스트만큼 대중적 주목을 받으며, 자신만의 브랜드와 콘텐츠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안무 창작자의 권리 보호와 저작권 체계가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고, 정부와 문화부도 관련 제도 개선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강남스타일 싸이


1. K‑POP을 대표하는 주요 안무가들

안무가 대표 작업 아티스트 및 곡
Lia Kim Sunmi '가시나', TWICE 'TT' 등
Woo Tae BoA, EXO Kai 등
Gabee TWICE, aespa, 청하 등
Mina Myoung Jay Park, TWICE 등
Nick Joseph BTS 'Butter', Jungkook 'Seven' 등
Ian Eastwood Taemin 'Danger', SHINee 'View' 등
Bailey Sok Red Velvet 'Psycho', aespa 'Savage' 등
Rino Nakasone SNSD 'Genie', EXO 등
Kyle Hanagami BLACKPINK 'How You Like That', ITZY 'ICY' 등
황상훈 BTS, SEVENTEEN 등
최영준 Wanna One '에너제틱' 등
백구영 EXO 'Love Shot' 등
아이키 환불원정대 'Don’t Touch Me' 등
캐스퍼 EXO '으르렁' 등

이들은 곡의 콘셉트와 아티스트 개성을 반영하여, 표정 연기, 중독성 포인트 안무, 강렬한 군무 구성 등을 통해 K‑POP 퍼포먼스를 완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팬들이 따라 하기 쉬운 '킬링 파트'와 '댄스 챌린지' 열풍은 바이럴 마케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K‑POP 안무 저작권 논의 배경 및 현황

2.1 과거 한계와 제도적 변화

과거 K‑POP 안무는 단발성 용역 계약이 일반적이었고, 저작권 보호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2024년 한국무용저작권협회(KCCA) 설립과 함께, SM, HYBE 등 대형 기획사들이 저작권 보호 가이드라인을 선언하면서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표준 계약서 도입과 안무 저작권 등록 제도 마련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2 저작권 등록률의 현실과 법적 기준

한국 저작권법상 안무는 ‘연극예술 저작물’로 자동 보호 대상이지만, 창작성과 고유성이 요구됩니다.
2024년 기준, 안무가 92명 중 단 2.2%만 저작권 등록을 완료했을 정도로 등록률은 매우 낮습니다.
보호 기준으로는 3초 이상 연속 동작 등 일정 시퀀스 이상일 때 저작물성을 인정하는 방향이 논의 중입니다.

2.3 정책 변화와 산업 협력

KCCA는 4대 핵심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 저작권법 개정
  • 표준 계약서 도입
  • 저작권 관리 시스템 구축
  • 안무 관련 협의체 운영

Naver Z(제페토), MVNT 등은 안무 IP 기반 제품화 및 보상 시스템 구축 협업을 진행하며 실질 보상 체계 도입을 준비 중입니다.

2.4 주요 분쟁 사례

Psy ‘Gangnam Style’의 ‘말춤’을 만든 이주선 안무가는 KCCA 창립에 참여하며 안무가 권리 보호 운동의 선구자가 되었습니다.
또한 최근 NewJeans와 ILLIT의 안무 유사성 논란은 업계 전반의 저작권 인식 전환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 안무가의 위상 변화와 K‑POP의 미래

스트릿 우먼 파이터 등 댄스 예능과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안무가들은 이제 인플루언서이자 크리에이터로 활동합니다.

  • 방송 출연, 유튜브 콘텐츠 제작
  • 글로벌 협업
  • 안무 교육 사업

이들은 더 이상 '숨은 조력자'가 아닌, 콘텐츠 주체로 부상하며 K‑POP 세계관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향후 표절 방지, 창작 보호, IP 활용 확장 등을 위한 제도 기반 강화가 K‑POP 산업의 질적 성장에 핵심이 될 것입니다.


안무가 보호는 K‑POP 미래의 성장 열쇠

K‑POP 안무는 단순한 퍼포먼스가 아닌, 콘텐츠 브랜드의 핵심 자산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안무가 권리 보호와 저작권 체계 구축은 더 다양하고 창의적인 K‑POP 세계를 위한 전제 조건입니다.
앞으로 안무가들이 정당한 보상과 명예를 얻는 구조가 정착된다면, K‑POP은 더욱 풍부하고 세계적인 콘텐츠로 발전할 것입니다.

반응형